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유
데이터베이스가 나오기 이전에 파일 시스템을 이용해 데이터를 관리하였는데 여기에는 데이터 중복, 데이터 무결성 등의 문제가 있어서 이를 해결한 데이터베이스가 나오게 되었고 보다 더 효율적인 것을 인정받아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.
데이터베이스 특징
- 데이터의 독립성
- 물리적 독립성 :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테이블의 물리적인 저장 위치를 변경하더라도, 해당 테이블의 논리적 구조는 변경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.
- 논리적 독립성 : 예를 들어,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학생 정보, 학과 정보, 교수 정보들이 논리적으로 나눠져 있을 때, 교수 정보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다른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 이를 논리적 독립성이라고 합니다.
- 데이터의 무결성
예를 들어 "은행 잔고는 0원 이상이여야 한다" 같은 무결성 제약조건을 두어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. - 데이터의 보안성
허가된 사용자들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설정해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입니다. - 데이터의 일관성
주문 시스템에서 주문 정보와 재고 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, 만약 어떤 주문이 발생하면, 해당 상품의 재고 수량도 같이 감소해야 된다는 뜻입니다. - 데이터 중복 최소화
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 하는 것입니다.
데이터베이스의 성능?
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은 디스크 I/O 를 어떻게 줄이느냐에 달려있습니다. 여기서 디스크 I/O 란 디스크 드라이브의 원판을 돌려서 읽어야 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로 디스크 헤더를 이동시킨 다음 데이터를 읽는 것을 의미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