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정의
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x 8 좌표 평면이다.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서 나이트가 서있다.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. 나이트는 특정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.1.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2.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
이처럼 8 x 8 좌표 평면 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,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한다.
c2에 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가지이다.
입력
첫째 줄에 8 x 8 좌표 평면 상에서 현재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된다. 입력 문자는 a1처럼 열과 행으로 이뤄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시오.
예제 입력 1
a1
예제 출력 1
2
접근 방법
1. 모든 경우의수(8가지)를 대입해보면 되는 구현 문제였다.
코드
data=input()
row=int(data[1])
column=int(ord(data[0]))-int(ord('a'))+1
dx=[-1, -2, 2, 1, -2, -1, 2, 1]
dy=[2, 1, 1, 2, -1, -2, -1, -2]
count=0
for i in range(8):
nx=row+dx[i]
ny=column+dy[i]
if nx >=1 and ny>=1 and nx<9 and ny<9:
count+=1
print(count)
생각 정리
아스키 코드 관련 개념이 부족하였다.
ord(문자) : 아스키 코드를 반환해준다
chr(숫자) : 숫자에 맞는 아스키 코드를 반환한다
대문자 'A'~'Z' -> 65~90
소문자 'a'~'z' -> 97~122
'문제풀이 > 구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* [파이썬] [구현] 백준 12100 2048 (0) | 2022.01.01 |
---|---|
[파이썬] [구현] 백준 4673 셀프 넘버 (0) | 2021.12.31 |
[파이썬] [구현] 문자열 재정렬 (0) | 2021.12.23 |
[파이썬] [구현] 시각 (0) | 2021.12.22 |
[파이썬] [구현] 상하좌우 (0) | 2021.12.22 |